-
- 연구분야&동향
-
- [에코힐링 연구실, Eco-healing Laboratory] / [물환경생태연구실]
- 에코힐링/물환경생태 연구실(담당교수: 황순진)은 국내외 하천과 호수를 포함하는 담수생태계의 보전과 복원을 위해 물리, 화학, 생물, 공학을 포함하는 학제간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육수학(Limnology) 및 하천생태학(Stream Ecology) 분야의 선도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하천과 호수생태계의 물질순환과 에너지이동 등 기초과학적 연구를 비롯하여 기후변화 영향, 인간의 교란에 따른 수생태계의 변화 및 건강성 평가, 생태공학적 수질개선, 유해조류 제어, 수생태계 복원 및 관리 연구와 정책 등 국내외적 환경 현안 문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Research key words : Freshwater, Climate change, Ecosystem health, Restoration, Harmful algae, Eutrophication Water quality, Limnology, Ecology
- 에코힐링/물환경생태 연구실(담당교수: 황순진)은 국내외 하천과 호수를 포함하는 담수생태계의 보전과 복원을 위해 물리, 화학, 생물, 공학을 포함하는 학제간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육수학(Limnology) 및 하천생태학(Stream Ecology) 분야의 선도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하천과 호수생태계의 물질순환과 에너지이동 등 기초과학적 연구를 비롯하여 기후변화 영향, 인간의 교란에 따른 수생태계의 변화 및 건강성 평가, 생태공학적 수질개선, 유해조류 제어, 수생태계 복원 및 관리 연구와 정책 등 국내외적 환경 현안 문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 [에코힐링 연구실, Eco-healing Laboratory] / [물환경생태연구실]
-
- 주요 연구분야 및 동향
-
- 기후변화 연구: 기후변화가 담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평가, 기후변화 대응 담수생태계 보전
- 기후변화는 현재와 미래에 환경문제와 직결되는 가장 중대한 지구적 이슈로 부각되고 있으며, 국내외적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여러가지 대응 및 적응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기수변화의 가장 큰 원인은 화석연료의 과다한 사용으로 인해 대기중의 CO2를 포함하는 온실기체의 농도가 높아져서 나타나는 지구온난화이다. 이 결과 홍수와 가뭄과 같은 수문체계의 변화, 온도상승 등이 나타나고 있으며 인간사회와 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주고 있다. 우리 연구실에서는 이러한 기후변화의 여러 가지 원인과 결과가 하천과 호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호수생태계 바닥층에서의 온실가스 emission과 flux에 대하여 연구하고 있다. 특히, 토지이용의 변화와 연계된 영향을 실험실과 인공적으로 만든 소규모 모델 호소 및 하천 생태계에서 조류(algae)와 동물플랑크톤 등 수생생물을 이용하여 연구한다. 예를 들면, 온도 및 CO2증가가 수중의 1차생산자인 조류(algae)의 성장과 먹이망 기능에 미치는 영향, 부영향화, 홍수 및 가뭄 현상에 따른 하천의 생물성장 및 회복과정을 연구하고 있다.
<기후변화가 담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사례>
<인공하천생태계의 조성 및 실험연구>
- 기후변화는 현재와 미래에 환경문제와 직결되는 가장 중대한 지구적 이슈로 부각되고 있으며, 국내외적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여러가지 대응 및 적응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기수변화의 가장 큰 원인은 화석연료의 과다한 사용으로 인해 대기중의 CO2를 포함하는 온실기체의 농도가 높아져서 나타나는 지구온난화이다. 이 결과 홍수와 가뭄과 같은 수문체계의 변화, 온도상승 등이 나타나고 있으며 인간사회와 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주고 있다. 우리 연구실에서는 이러한 기후변화의 여러 가지 원인과 결과가 하천과 호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호수생태계 바닥층에서의 온실가스 emission과 flux에 대하여 연구하고 있다. 특히, 토지이용의 변화와 연계된 영향을 실험실과 인공적으로 만든 소규모 모델 호소 및 하천 생태계에서 조류(algae)와 동물플랑크톤 등 수생생물을 이용하여 연구한다. 예를 들면, 온도 및 CO2증가가 수중의 1차생산자인 조류(algae)의 성장과 먹이망 기능에 미치는 영향, 부영향화, 홍수 및 가뭄 현상에 따른 하천의 생물성장 및 회복과정을 연구하고 있다.
- 조류(algae) 연구: 유해조류의 발생원인, 영향 및 관리 방안, 수질건강성(Water health) 확보
- 수중에는 수많은 다양한 algae들이 서식하며 이들은 수생태계의 1차생산자로서 수중생태계먹이망을 유지하는 기초생산자 역할을 한다. 그러나 과다한 조류의 번성은 물의 냄새와 맛을 변화시키며 수질과 경관에 악영향을 미친다. 특히, 일부 조류는 독소와 이취미를 생산하여 유해조류로 구분한다. 우리 연구실에서는 이러한 유해조류의 생성과 소멸에 대한 원인 및 기작, 과다한 조류번성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과학적, 기술적 연구를 수행해오고 있다.
<녹조현상(조류대발생) 및 그에 따른 피해>
<유해 남조류 일종인 Anabaena 생활사>
- 수중에는 수많은 다양한 algae들이 서식하며 이들은 수생태계의 1차생산자로서 수중생태계먹이망을 유지하는 기초생산자 역할을 한다. 그러나 과다한 조류의 번성은 물의 냄새와 맛을 변화시키며 수질과 경관에 악영향을 미친다. 특히, 일부 조류는 독소와 이취미를 생산하여 유해조류로 구분한다. 우리 연구실에서는 이러한 유해조류의 생성과 소멸에 대한 원인 및 기작, 과다한 조류번성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과학적, 기술적 연구를 수행해오고 있다.
- CO2 저감 및 바이오에너지 연구: 미세조류 대량배양, 영양염 및 CO2
- 유한자원(limited resource)인 화석연료의 고갈이 예견됨에 따라 이를 대체할 에너지원의 개발이 지구적으로 화두인 시대이다. 영속적인 자원인 태양, 바람, 물 등의 에너지원을 이용하는 기술개발과 함께, 생물자원(특히 미세조류)를 이용하는 기술개발이 강조되고 있다. 우리 연구실에서는 대량배양에 적절한 조류를 스크리닝하여 분리, 배영하고 이를 대량화시키는 조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는 동시에, 조류성장에 따른 영양염 및 CO2 저감효과를 평가하는 연구를 수행해 오고 있다.
<미래의 바이오에너지 생산에 이용되는 미세조류 및 대량배양 연구>
- 유한자원(limited resource)인 화석연료의 고갈이 예견됨에 따라 이를 대체할 에너지원의 개발이 지구적으로 화두인 시대이다. 영속적인 자원인 태양, 바람, 물 등의 에너지원을 이용하는 기술개발과 함께, 생물자원(특히 미세조류)를 이용하는 기술개발이 강조되고 있다. 우리 연구실에서는 대량배양에 적절한 조류를 스크리닝하여 분리, 배영하고 이를 대량화시키는 조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는 동시에, 조류성장에 따른 영양염 및 CO2 저감효과를 평가하는 연구를 수행해 오고 있다.
- Eco-health 연구: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평가・진단, 훼손된 하천생태계 복원 및 보전
- 우리나라를 포함하는 지구 대부분의 지역에서 인간활동으로 인한 교란은 수생태계(특히, 하천생태계)의 수질악화, 수량감소, 서식처 파괴, 생물다양성 감소 등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총체적으로 수생태계의 건강성(ecosystem health)를 악화시켰다. 우리나라에서는 수생태계 보전과 관리를 위해 2007년도에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였고 수생태계 건강성 회복을 위한 건강성 조사평가, 생태하천복원, 수생태복원기술 개발 등의 사업을 진행해오고 있다. 특히, 매년 전국의 하천에 대한 수생태 건강성을 평가하여 하천복원에 활용하기 위한 대규모의 국가 조사연구사업(전국 1200개 하천대상)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 연구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우리 연구실에서는 2007년 이래로 지속적으로 이 과제의 총괄책임을 맡아 수행해오고 있으며, 환경부의 수생태계 평가와 생태하천복원 정책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생태하천복원을 위한 기술지침, 메뉴얼, 교육홍보자료 작성에 관한 연구도 수행하고 있다.
<미래의 바이오에너지 생산에 이용되는 미세조류 및 대량배양 연구>
<수생태 건강성 증진을 위한 국제 심포지움 (2012, 프레스센터)>
<수생태복원기술 메뉴얼 개발 연구>
- 우리나라를 포함하는 지구 대부분의 지역에서 인간활동으로 인한 교란은 수생태계(특히, 하천생태계)의 수질악화, 수량감소, 서식처 파괴, 생물다양성 감소 등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총체적으로 수생태계의 건강성(ecosystem health)를 악화시켰다. 우리나라에서는 수생태계 보전과 관리를 위해 2007년도에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였고 수생태계 건강성 회복을 위한 건강성 조사평가, 생태하천복원, 수생태복원기술 개발 등의 사업을 진행해오고 있다. 특히, 매년 전국의 하천에 대한 수생태 건강성을 평가하여 하천복원에 활용하기 위한 대규모의 국가 조사연구사업(전국 1200개 하천대상)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 연구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우리 연구실에서는 2007년 이래로 지속적으로 이 과제의 총괄책임을 맡아 수행해오고 있으며, 환경부의 수생태계 평가와 생태하천복원 정책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생태하천복원을 위한 기술지침, 메뉴얼, 교육홍보자료 작성에 관한 연구도 수행하고 있다.
- 기후변화 연구: 기후변화가 담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평가, 기후변화 대응 담수생태계 보전